본문 바로가기

증여세2

증여세 신고 기간이 지나서 신고하면 가산세 얼마나 낼까? 증여세 신고는 재산을 증여받은지 3개월이 지나기 전에 해야 합니다. 그런데 3개월이 지나서 신고를 하려고 하면 원래 내야 하는 세금 외에 늦어진 기간만큼 가산세를 내야 합니다. 만약 증여받은지 3개월이 지나고나서 내가 직접 신고하려고 한 게 아니라 국세청에서 세금을 내라고 고지가 올 경우에는, 신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벌금의 개념으로 무신고 가산세가 붙게 됩니다. 무신고 가산세는 내야 할 세금 금액의 20%를 추가로 내도록 되어있습니다. 오늘은 자진 신고를 하긴 하지만 신고 기간이 지났을 경우를 중점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모가 성인자녀에게 증여한 경우를 상정하였습니다. 신고 기간이 지난 만큼의 날짜 * 0.025% 증여세를 신고해야 하는 기간인 3개월이 지나고 나서 신고할 경우, 지난 날짜에 0... 재테크 2022. 12. 23.
자녀 증여세 면제한도 및 세율에 따른 절세 전략 자녀에게 증여할 때 증여세의 면제 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증여 금액에 따른 세율과 이를 통한 절세 전략을 알아보았습니다.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 자녀에게 증여할 때에는 증여받는 자녀가 미성년인지 성인인지에 따라 면제 한도가 달라집니다. 증여세의 면제 금액은 10면마다 합산해서 계산합니다. 아래 적어드리는 면제 금액은 10년 안에 증여받은 총 금액임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미성년 자녀 - 2천만원 성인 자녀 - 5천만원 위 금액은 증여 받는 자녀를 기준으로 합산이 됩니다. 예를 들어 미성년 자녀가 할아버지에게 2천만원, 부모님께 2천만원을 각각 증여받았다면, 총 증여 금액은 4천만원이기 때문에 면제 한도 금액 2천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2천만원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 금액에 따른.. 재테크 2022.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