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녀 증여세 면제한도 및 세율에 따른 절세 전략

불로소비 2022. 12. 20.

자녀에게 증여할 때 증여세의 면제 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증여 금액에 따른 세율과 이를 통한 절세 전략을 알아보았습니다.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

자녀에게 증여할 때에는 증여받는 자녀가 미성년인지 성인인지에 따라 면제 한도가 달라집니다. 증여세의 면제 금액은 10면마다 합산해서 계산합니다. 아래 적어드리는 면제 금액은 10년 안에 증여받은 총 금액임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미성년 자녀 - 2천만원
  • 성인 자녀 - 5천만원

위 금액은 증여 받는 자녀를 기준으로 합산이 됩니다. 예를 들어 미성년 자녀가 할아버지에게 2천만원, 부모님께 2천만원을 각각 증여받았다면, 총 증여 금액은 4천만원이기 때문에 면제 한도 금액 2천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2천만원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 금액에 따른 세율

증여세는 위에 적어드린 증여세 면제 한도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과세표준으로 잡고 그 금액에 대해서만 세율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성인자녀에게 2억원을 증여할 경우, 면제한도인 5천만원을 제외한 1억 5천만원을 과세표준으로 잡고 1억 5천만원에 대한 증여세율을 적용합니다.

 

  • 1억원 이하 - 10%
  • 1억원~5억원 이하 - 20%
  • 5억원~10억원 이하 - 30%
  • 10억원~ 30억원 이하 - 40%
  • 30억원 초과 - 50%

위에 예시로 들어드린 성인자녀에게 2억원을 증여할 때의 증여세를 산출해보겠습니다.

 

  • 증여금액 2억원 - 면제한도 5천만원 = 과세표준 1억 5천만원
  • 1억원 이하 10% 구간 대상 금액 : 1억원
  • 1억원~5억원 이하 20% 구간 대상 금액 : 5천만원
  • 총 증여세 금액 = 1억원*10% + 5천만원*20% = 2천만원

 

위 계산 방식처럼 성인 자녀에게 2억원을 증여할 경우 2천만원의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 절세 전략

증여세 절세 전략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증여세를 전혀 내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증여해주는 전략과, 또 하나는 증여세를 어느 정도 내면서 증여 금액을 최대한 늘리는 전략입니다.

 

1. 증여세를 내지 않고 최대로 증여해주는 전략

이 방법은 위에 말씀드린 면제 한도 금액을 10년마다 매번 증여해주는 방법입니다.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0세일 때 2천만원, 10세일 때 2천만원, 20세일 때 5천만원, 30세일 때 5천만원을 증여해주면 자녀가 30세일 때 총 1억4천만원을 증여세 없이 증여해줄 수 있습니다. 증여 재산을 잘 투자한다고 하면 각각 30년, 20년, 10년의 투자 수익을 더해줄 수 있으므로 훨씬 큰 금액을 증여해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증여세를 내더라도 증여 금액을 최대한 늘리는 전략

부모나 조부모의 재산 현황에 따라 다르지만, 이 전략은 주로 어느 정도 물려줄 재산이 충분히 있는 가계의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우리가 소득세를 내거나 각종 세금을 낼 때의 세율을 생각해 볼까요? 보통 대기업 직장인의 경우 소득세 세율 구간은 20~30% 정도입니다. 그리고 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무조건 내는 부가가치세의 경우는 물건 가격의 10%입니다.

 

이 정도의 세율을 생각해 봤을 때, 증여를 할 때에도 10% 정도의 세금은 충분히 납부할만 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총 증여금액의 10% 정도를 증여세로 납부한다고 생각하고 증여하는 방법이 바로 이 두번째 전략입니다.

 

  • 0세 때 증여액: 1억2천만원 (증여세 1천만원)
  • 10세 때 증여액: 1억 2천만원 (증여세 1천만원)
  • 20세 때 증여액: 2억원 (증여세 2천만원)
  • 30세 때 증여액: 2억원 (증여세 2천만원)

이렇게 증여할 경우 30세 때 총 증여액 6억4천만원 중 증여세 6천만원을 제한 나머지 5억8천만원이 자녀에게 증여가 됩니다. 증여세를 한 푼도 내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4억4천만원을 더 많이 증여해줄 수 있습니다. 증여해줄 재산이 많을 경우에는 이렇게 증여세를 조금 내더라도 더 많은 금액을 증여해주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자녀에게 증여를 할 때 면제한도와 세율을 보고 얼마나 증여해줘야 하는지 고민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 대기업 직장인이면서 평범한 가정이라면 사실 고민할 것 없이 증여세를 내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증여해주는 전략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조금 여유가 있으시면 두 번째 전략처럼 어느 정도 증여세를 내면서 더 많이 증여하시는 게 훨씬 좋은 절세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댓글